이 내용은 깃허브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-> https://github.com/LeeJongAnn

spring에서 바라보는 경로를 지정할 수 있는데 ,
prefix는 작업 파일의 경로를 항상 WEB-INF/views로 지정해놓는 것이다.
또한 그 밑에 suffix는 작업파일의 이름 뒤에 붙일 확장자 명을 표시한 것이다.
.jsp라고 붙어 있는데 그러면 항상 jsp 파일을 사용하게 된다.

어노테이션은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쓸 수 있다.
- @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은 json을 반환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한다.
일단 뭐라도 찍어보기 위해서 사용했다.- @GetMapping 어노테이션은 해당 컨트롤러에서 주소를 연결해주기 위해서 사용한다.
GetMapping 뒤에 home이라고 붙어있는데 http://localhost:8080/borad/home 이렇게 붙이면
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. 그리고 리턴값이 문자열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.

'자바의 봄(Spring) > 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. 스프링부트로 게시판 만들기 - Thymeleaf로 공통 부분 나누기 (0) | 2022.04.16 |
---|---|
3-2 스프링부트로 게시판 만들기 - Board 엔티티 생성하기 (0) | 2022.04.15 |
3-1 스프링부트로 게시판 만들기 - User엔티티의 테스트 추가 (0) | 2022.04.15 |
3. 스프링부트로 게시판 만들기 - User엔티티와 테스트하기 (0) | 2022.04.13 |
1. 스프링부트로 게시판 만들기 (0) | 2021.09.17 |
댓글